1918번: 후위 표기식
첫째 줄에 중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단 이 수식의 피연산자는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지며 수식에서 한 번씩만 등장한다. 그리고 -A+B와 같이 -가 가장 앞에 오거나 AB와 같이 *가 생략되는 등의
www.acmicpc.net
문제
수식은 일반적으로 3가지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산자가 피연산자 가운데 위치하는 중위 표기법(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방법이다),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전위 표기법(prefix notation),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a+b는 전위 표기법으로는 +ab이고, 후위 표기법으로는 ab+가 된다.
이 문제에서 우리가 다룰 표기법은 후위 표기법이다. 후위 표기법은 위에서 말한 법과 같이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흔히 쓰는 중위 표기식 같은 경우에는 덧셈과 곱셈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어 왼쪽부터 차례로 계산할 수 없지만 후위 표기식을 사용하면 순서를 적절히 조절하여 순서를 정해줄 수 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괄호 등도 필요 없게 된다. 예를 들어 a+b*c를 후위 표기식으로 바꾸면 abc*+가 된다.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바꾸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우선 주어진 중위 표기식을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괄호로 묶어준다. 그런 다음에 괄호 안의 연산자를 괄호의 오른쪽으로 옮겨주면 된다.
예를 들어 a+b*c는 (a+(b*c))의 식과 같게 된다. 그 다음에 안에 있는 괄호의 연산자 *를 괄호 밖으로 꺼내게 되면 (a+bc*)가 된다. 마지막으로 또 +를 괄호의 오른쪽으로 고치면 abc*+가 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림으로 표현하면 A+B*C-D/E를 완전하게 괄호로 묶고 연산자를 이동시킬 장소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결과: ABC*+DE/-
이러한 사실을 알고 중위 표기식이 주어졌을 때 후위 표기식으로 고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중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단 이 수식의 피연산자는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지며 수식에서 한 번씩만 등장한다. 그리고 -A+B와 같이 -가 가장 앞에 오거나 AB와 같이 *가 생략되는 등의 수식은 주어지지 않는다. 표기식은 알파벳 대문자와 +, -, *, /, (, )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후위 표기식으로 바뀐 식을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복사
A*(B+C)
예제 출력 1 복사
ABC+*
Solve
- 중위 표기식에서 후위 표기식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찾아보고 해결하였습니다.
- input을 순회하면서 연산자가 아니라면 문자열에 더해주고, 연산자라면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습니다.
- 스택이 비어있거나 열린 괄호일 경우에는 stack에 바로 넣어주고 다음 문자열을 탐색합니다.
- 닫힌 괄호일 경우 열린 괄호가 나올때까지 연산자를 문자열에 더해주었습니다.
- 괄호를 제외한 다른 연산자일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는 *,/ 보다 우선순위가 낮음) 스택의 맨 위 연산자가 현재 연산자의 우선순위보다 작을 때 까지 스택에서 pop하여 문자열에 더해주고, stack에 넣어주었습니다.
- 문자열의 순회가 모두 끝나고 스택에 연산자가 남아있을 경우, stack의 맨 위 부터 문자열에 더해주었습니다.
Code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
const priority = { "+":1, "-":1,"*":2,"/":2};
const operators = ["(","+","-","*","/",")"];
let answer = "";
const stack = [];
for(let i = 0 ; i < input.length; i++) {
if(operators.includes(input[i])) {
if(stack.length === 0 || input[i] === "(") {
stack.push(input[i]);
continue;
}
if(input[i] === ")") {
while(true) {
if(stack[stack.length-1] === "(") {
stack.pop();
break;
}
answer += stack.pop();
}
} else {
while(true) {
if(stack.length === 0) break;
if(priority[stack[stack.length-1]] < priority[input[i]]) {
break;
}
answer += stack.pop();
}
stack.push(input[i]);
}
} else {
answer += input[i];
}
}
while(stack.length) {
answer += stack.pop();
}
console.log(answer);
'BOJ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 Node.js] 5635. 생일 (0) | 2023.03.21 |
---|---|
[BOJ / Node.js] 1120. 문자열 (0) | 2023.03.20 |
[BOJ / Node.js] 2638. 치즈 (0) | 2023.03.18 |
[BOJ / Node.js] 1072. 게임 (0) | 2023.03.17 |
[BOJ / Node.js] 24060. 알고리즘 수업 - 병합 정렬 1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