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8번: 치즈
첫째 줄에는 모눈종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N, M (5 ≤ N, M ≤ 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모눈종이 위의 격자에 치즈가 있는 부분은 1로 표시되고, 치즈가 없는 부분은 0으로
www.acmicpc.net
문제
N×M의 모눈종이 위에 아주 얇은 치즈가 <그림 1>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단, N 은 세로 격자의 수이고, M 은 가로 격자의 수이다. 이 치즈는 냉동 보관을 해야만 하는데 실내온도에 내어놓으면 공기와 접촉하여 천천히 녹는다. 그런데 이러한 모눈종이 모양의 치즈에서 각 치즈 격자(작 은 정사각형 모양)의 4변 중에서 적어도 2변 이상이 실내온도의 공기와 접촉한 것은 정확히 한시간만에 녹아 없어져 버린다. 따라서 아래 <그림 1> 모양과 같은 치즈(회색으로 표시된 부분)라면 C로 표시된 모든 치즈 격자는 한 시간 후에 사라진다.

<그림 1>
<그림 2>와 같이 치즈 내부에 있는 공간은 치즈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므 로 이 공간에 접촉한 치즈 격자는 녹지 않고 C로 표시된 치즈 격자만 사라진다. 그러나 한 시간 후, 이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그림 3>에서와 같이 C로 표시된 치즈 격자들이 사라지게 된다.

<그림 2>

<그림 3>
모눈종이의 맨 가장자리에는 치즈가 놓이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으로 주어진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모눈종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N, M (5 ≤ N, M ≤ 1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모눈종이 위의 격자에 치즈가 있는 부분은 1로 표시되고, 치즈가 없는 부분은 0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0과 1은 하나의 공백으로 분리되어 있다.
출력
출력으로는 주어진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정수로 첫 줄에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8 9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0 1 1 0 1 1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0 0
0 0 1 1 0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예제 출력 1 복사
4
Solve
- 문제풀이를 위해 먼저 순서를 정리했습니다.
-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분류합니다. => 모든 종이의 가장자리에는 치즈가 없으므로 가장자리 기준으로 검사. 외부공기는 -1이라고 가정합니다.(BFS를 활용)
- 외부공기와 2면 이상 접촉한 치즈는 녹습니다 => 녹을 예정인 치즈는 2로 변환합니다. (BFS 활용)
- 녹을 예정일 치즈(2)를 한번에 제거합니다. => 치즈가 모는종이에 없다면 반복문을 종료합니다.
- 1번으로 돌아갑니다.
- 주어진 배열에서 치즈의 개수를 먼저 센 후 cheese변수에 할당하였습니다. 치즈가 녹을 때마다 cheese값을 빼주면서, 모눈종이에 치즈가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계산하였습니다.
Code
// 큐
class Node {
constructor(data) {
this.data = data;
this.next = null;
}
}
class Queue {
constructor() {
this.head = null;
this.tail = null;
this.length = 0;
}
empty() {
return this.length === 0 ? 1 : 0;
}
enqueue(element) {
const newNode = new Node(element);
if (!this.head) this.head = newNode;
else this.tail.next = newNode;
this.tail = newNode;
this.length++;
}
dequeue() {
if (!this.head) return -1;
const data = this.head.data;
this.head = this.head.next;
this.length--;
return data;
}
getSize() {
return this.length;
}
front() {
if (!this.length) return -1;
return this.head.data;
}
back() {
if (!this.length) return -1;
return this.tail.data;
}
}
// constant
const dx = [-1, 0, 1, 0];
const dy = [0, 1, 0, -1];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n,m] = input.shift().split(' ').map(el=>+el);
const matrix = input.map(el=>el.split(' ').map(el=>+el));
let save = null;
let visited = null;
let answer = 0;
let cheese = 0;
for(let i = 0; i < n; i++) {
for(let j = 0; j < m; j++) {
if(matrix[i][j] === 1) cheese++;
}
}
const divideAir = (matrix) => {
matrix[0][0] = -1;
const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0,0]);
while(!queue.empty()) {
const [x, y] = queue.dequeue();
for(let i = 0; i < 4; i++) {
const nx = x + dx[i]; const ny = y + dy[i];
if(nx < 0 || ny < 0 || nx >= n || ny >= m) continue;
if(matrix[nx][ny] !== 0) continue;
matrix[nx][ny] = -1;
queue.enqueue([nx, ny]);
}
}
}
const initAir = (matrix) => {
for(let i = 0 ; i < n; i++) {
for(let j = 0; j < m; j++) {
if(matrix[i][j] === -1) matrix[i][j] = 0;
}
}
}
const isMelt = (matrix, x, y) => {
let count = 0;
for(let i = 0 ; i < 4; i++) {
const nx = x + dx[i]; const ny = y + dy[i];
if(matrix[nx][ny] === -1) count++;
if(count >= 2) break;
}
return count >= 2;
}
const convertCheese = (matrix, sx, sy) => {
if(matrix[sx][sy] !== 1) return;
if(visited[sx][sy]) return;
visited[sx][sy] = true;
const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sx, sy]);
while(!queue.empty()) {
const [x, y] = queue.dequeue();
if(isMelt(matrix, x, y)) {
matrix[x][y] = 2;
save.push([x, y]);
}
for(let i = 0 ; i < 4; i++) {
const nx = x + dx[i]; const ny = y + dy[i];
if(nx < 0 || ny < 0 || nx >= n || ny >= m) continue;
if(matrix[nx][ny] !== 1) continue;
if(visited[nx][ny]) continue;
queue.enqueue([nx, ny]);
visited[nx][ny] = true;
}
}
}
while(true) {
answer++;
save = [];
initAir(matrix);
divideAir(matrix);
visited = Array.from({length:n},()=>Array.from({length:m},()=>false));
for(let i = 0 ; i < n; i++) {
for(let j = 0; j < m; j++) {
convertCheese(matrix, i, j);
}
}
for(let i = 0; i < save.length; i++) {
const [x, y] = save[i];
matrix[x][y] = -1;
cheese--;
}
if(cheese <= 0) break;
}
console.log(answer);
'BOJ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 Node.js] 1120. 문자열 (0) | 2023.03.20 |
---|---|
[BOJ / Node.js] 1918. 후위 표기식 (0) | 2023.03.19 |
[BOJ / Node.js] 1072. 게임 (0) | 2023.03.17 |
[BOJ / Node.js] 24060. 알고리즘 수업 - 병합 정렬 1 (0) | 2023.03.16 |
[BOJ / Node.js] 24051. 알고리즘 수업 - 삽입 정렬 1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