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00번: 2048 (Easy)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
www.acmicpc.net
문제
2048 게임은 4×4 크기의 보드에서 혼자 즐기는 재미있는 게임이다. 이 링크를 누르면 게임을 해볼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한 번의 이동은 보드 위에 있는 전체 블록을 상하좌우 네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같은 값을 갖는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 (실제 게임에서는 이동을 한 번 할 때마다 블록이 추가되지만, 이 문제에서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는 없다)

(그림 및 예제 생략)
이 문제에서 다루는 2048 게임은 보드의 크기가 N×N 이다. 보드의 크기와 보드판의 블록 상태가 주어졌을 때, 최대 5번 이동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의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24보다 작거나 같은 2의 제곱꼴이다. 블록은 적어도 하나 주어진다.
출력
최대 5번 이동시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3
2 2 2
4 4 4
8 8 8
예제 출력
16
Solve
- moveBlocks 함수는 깊은 복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주소값의 2차원 배열을 만들어 준 뒤, 방향에 맞게 움직인 후 return해 주도록 하였습니다.
- 반복문을 이용하여 문제의 조건에 따라 배열의 값을 변경시켜주도록 하였습니다.
Code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n = +input.shift();
const board = input.map(el=>el.split(' ').map(el=>+el));
let answer = 0;
const direction = ["LEFT", "RIGHT", "UP", "DOWN"];
function moveBlocks(board, length, dir) {
const newBoard = board.map(v => [...v]);
switch(dir) {
case "LEFT" :
for(let i = 0; i < length; i++) {
for(let j = 0; j < length; j++) {
if(newBoard[i][j] === 0) {
for(let k = j+1; k < length; k++) {
if(newBoard[i][k] !== 0) {
newBoard[i][j] = newBoard[i][k];
newBoard[i][k] = 0;
j-= 1;
break;
}
}
} else {
for(let k = j+1; k < length; k++) {
if(newBoard[i][k] === newBoard[i][j]) {
newBoard[i][j] = newBoard[i][k]*2;
newBoard[i][k] = 0;
break;
}
else if(newBoard[i][k] !== 0) break;
}
}
}
}
break;
case "RIGHT" :
for(let i = 0; i < length; i++) {
for(let j = length-1; j >= 0; j--) {
if(newBoard[i][j] === 0) {
for(let k = j-1; k >= 0; k--) {
if(newBoard[i][k] !== 0) {
newBoard[i][j] = newBoard[i][k];
newBoard[i][k] = 0;
j++;
break;
}
}
} else {
for(let k = j-1; k >= 0; k--) {
if(newBoard[i][k] === newBoard[i][j]) {
newBoard[i][j] = newBoard[i][k]*2;
newBoard[i][k] = 0;
break;
}
else if(newBoard[i][k] !== 0) break;
}
}
}
}
break;
case "UP" :
for(let j = 0; j < length; j++) { // y
for(let i = 0; i < length; i++) { // x
if(newBoard[i][j] === 0) {
for(let k = i+1; k < length; k++) {
if(newBoard[k][j] !== 0) {
newBoard[i][j] = newBoard[k][j];
newBoard[k][j] = 0;
i--;
break;
}
}
} else {
for(let k = i+1; k < length; k++) {
if(newBoard[k][j] === newBoard[i][j]) {
newBoard[i][j] = newBoard[k][j]*2;
newBoard[k][j] = 0;
break;
}
else if(newBoard[k][j] !== 0) break;
}
}
}
}
break;
case "DOWN" :
for(let j = 0; j < length; j++) { // y
for(let i = length-1; i >= 0; i--) { // x
if(newBoard[i][j] === 0) {
for(let k = i-1; k >= 0; k--) {
if(newBoard[k][j] !== 0) {
newBoard[i][j] = newBoard[k][j];
newBoard[k][j] = 0;
i++;
break;
}
}
} else {
for(let k = i-1; k >= 0; k--) {
if(newBoard[k][j] === newBoard[i][j]) {
newBoard[i][j] = newBoard[k][j]*2;
newBoard[k][j] = 0;
break;
}
else if(newBoard[k][j] !== 0) break;
}
}
}
}
break;
default : break;
}
return newBoard;
}
function findMaxValue (board) {
let max = 0;
for(let i = 0 ; i < n; i++) {
max = Math.max(max, Math.max(...board[i]));
}
return max;
}
function simulate(board, count) {
if(count >= 5) {
answer = Math.max(answer, findMaxValue(board));
return;
}
for(let i = 0 ; i < 4; i++) {
const newBoard = moveBlocks(board, n, direction[i]);
simulate(newBoard, count+1);
}
}
simulate(board, 0);
console.log(answer);
'BOJ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 Node.js] 17413. 단어 뒤집기 2 (0) | 2023.03.14 |
---|---|
[BOJ / Node.js] 10830 행렬 제곱 (0) | 2023.03.13 |
[BOJ / Node.js] 23881. 알고리즘 수업 - 선택 정렬 1 (0) | 2023.03.11 |
[BOJ / Node.js] 1057. 토너먼트 (0) | 2023.03.10 |
[BOJ / Node.js] 1182. 부분수열의 합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