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J/Node.js

[BOJ / Node.js] 7795.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도리닥닥 2023. 2. 22. 23:53
728x90

문제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수 있는 쌍의 개수는 7가지가 있다. 8-3, 8-6, 8-1, 7-3, 7-6, 7-1, 3-1.

두 생명체 A와 B의 크기가 주어졌을 때, A의 크기가 B보다 큰 쌍이 몇 개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A의 수 N과 B의 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의 크기가 모두 주어지며, 셋째 줄에는 B의 크기가 모두 주어진다. 크기는 양의 정수이다. (1 ≤ N, M ≤ 20,0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가 B보다 큰 쌍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5 3
8 1 7 3 1
3 6 1
3 4
2 13 7
103 11 290 215

예제 출력 1

7
1

 

Solve

  • A생명체와 B생명체 배열을 미리 정렬해 준다면, A를 기준으로 B를 비교할 때, 현재 원소 값은 이전 원소값보다 크므로, 처음부터 계산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최대 포인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열을 정렬해 줍니다.
  • search 함수 내에서, right 변수는 현재 A생명체가 먹을 수 있는 B생명체의 최대 크기를 가리키는 포인터 변수입니다. right 변수가 가리키는 값이 현재 A생명체가 먹을 수 있는 크기보다 작다면, B생명체의 다음 원소를 탐색합니다. 

Code

const arr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t = +arr[0];

const search = (a, b)=> {
    let count = 0;
    let right = 0;

    const helper = (target, b) => {
        if(right === b.length) return right;
        while(true) {
            if(b[right] < target) {
                right++;
            } else {
                break;
            }
        }
        return right;
    }

    for(let i = 0 ; i < a.length; i++) {
        count += helper(a[i], b);
    }
    return count;
}


for(let i = 0 ; i < t; i++) {

    const [aLen,bLen] = arr[(3*i)+1].split(' ').map(el => +el);
    const a = arr[(3*i)+2].split(' ').map(el => +el);
    const b = arr[(3*i)+3].split(' ').map(el => +el);

    a.sort((a,b)=>a-b);
    b.sort((a,b)=>a-b);

    console.log(search(a,b));
}